Oracle Cloud 인스턴스 생성 및 접속

Oracle Cloud 인스턴스 생성 및 접속
들어가며
사실 OCI는 회원가입부터 너무 힘들었습니다. 저 같은 경우 매번 체크 카드로 시도하다가 신용 카드로 회원가입을 시도했더니 회원가입에 성공했습니다. 이토록 OCI를 사용하려고 한 이유는 바로 4core 24ram 사양을 무료로 사용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거두절미하고 인스턴스를 생성하러 가보겠습니다.
생성
저는 Ubuntu 인스턴스를 생성해보도록 하겠습니다.
그 다음 사양을 설정할 차례입니다. 4코어 램 24기가를 사용하려면 Ampere의 VM.Standard.A1.Flex항상 무료 적격
을 선택하고 OCPU 수를 4, 메모리 용량을 24로 설정하면 됩니다. 단, 처음에 가입하면 Ampere의 VM.Standard.A1.Flex Shape이 목록에 뜨지 않습니다. 구글링을 통해 알아보니 계정을 유료 계정으로 업그레이드를 해야합니다. 물론 업그레이드 한다고 해서 돈이 나가는 건 아니고, 4코어 램 24GB, 저장공간 200GB 리소스를 넘어서서 사용하게되면 요금이 지불된다고 합니다. 리소스를 넘어서서 사용하지 않도록 주의합시다!
그 다음, 키를 추가할 차례입니다. 키는 인스턴스에 원격으로 접속할 때 필요합니다. 저는 이미 키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공용키를 업로드 해주겠습니다. 없으신 분들은 자동으로 키 쌍 생성
을 체크하시고 꼭 로컬에 다운로드 하셔서 가지고 계셔야 합니다!
마지막으로 저장 공간을 설정할 차례입니다. 200GB 까지 무료라고 하긴 하지만 저는 혹시나 하는 마음에 195GB로 설정했습니다.
부트 볼륨을 높게 설정해도 되지만, 추후에 관리가 편하도록 부트 볼륨은 자동 지정으로 하고 150GB의 블록 볼륨을 생성해서 인스턴스에 연결하여 마운트하는 방법도 있습니다. 추후에 블롬 볼륨 생성 및 마운트 방법을 포스팅하도록 하겠습니다.
인스턴스가 생성되었습니다. 인스턴스 이름을 클릭하시고 세부 내용에 들어가시면 서브넷 항목을 클릭하셔서 보안 목록에 보시면 수신 규칙을 정의할 수 있는 페이지가 있습니다.

저는 위처럼 80(http), 443(https) 포트를 개방해두었습니다. ssh 원격 접속도 해야하니 22번 포트도 개방해봅시다. 수신 규칙 추가
버튼 클릭

위 처럼 내용을 기입하시고 수신 규칙 추가
버튼을 눌러줍시다. 22번 포트를 개방했으니 인스턴스에 ssh 원격 접속을 해봅시다.
터미널에 접속하셔서 아래 명령을 입력합니다.
ssh ubuntu@<인스턴스 ip> -i <개인키 파일 경로>
인스턴스 생성할 때 다운로드 한 키 쌍 파일 중 개인키 경로를 명령어에 포함해주셔야 합니다.
매번 ssh 원격 접속 시 위 명령어를 입력하실려면 귀찮을 수 있습니다. 그럴 땐 접속 정보를 별칭으로 등록해서 사용할 수 있습니다.
~/.ssh
폴더에 config
파일을 생성해주고 위와 같이 접속 정보를 설정해주면 간편하게 ssh 연결을 할 수 있습니다.
ssh kr-1
마무리
이렇게 Oracle Cloud 서비스를 이용해서 저만의 개인 서버를 만들어보았습니다. 사실 보고 계신 이 블로그도 서버에서 실행 중인 서비스입니다. 어떻게 블로그를 서버에 배포시켰는지도 추후에 정리해보겠습니다.
여러분들도 여러분만의 서버를 한 번 만들어보시는 건 어떠신가요. 감사합니다.